is a personal study examining childhood memory and confabulation. There are low and high tides in between what I had imagined and what I actually had seen.
When I was little, I looked into the well in my grandmother’s backyard. It was covered with a heavy wooden lid and left unused for years. When I opened it, I was confronted with nothing but an infinite black hole. I dropped a pebble in and the darkness swallowed it right away. I began counting seconds. Each second of silence was intimidating. The sense of depth ran far beyond my imagination. Finally, it hit the bottom. It sounded like it was from the end of the world. I was fascinated by this surreal play. One day, the other end of the well opened and there was a boy. No, it was a mirror image of myself and the sky. Somehow the well got wet. On the thick black water, my shadow overlapped my reflection. I waved a hand to the dark figure to confirm it was me. It worked but in a way, I could sense fragility in the synchronized action. Maybe it was because there were distance and isolation. It was the darkest shadow of myself I had ever seen. The longer I stared it, the more it became vivid. And then I got scared by his gaze.
우물 안을 들여다보았다. 놀랍도록 검고 깊은 공간이었다. 한낮의 빛도 닿지 않는 그곳은 농밀하게 어두웠고, 높은 곳에 오르지 않았는데도 아찔하였다. 나의 시선은 보이지 않는 곳을 향해있었다. 긴장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 불안감에 유혹되었다. 그렇게 나는 어릴 적 외할머니댁을 방문할 때마다 우물이 있는 뒷마당으로 달려가곤 했다. 오랜 세월 닫혀 있던 우물의 무거운 나무 덮개를 제쳐 그것을 대면하는 일은 나에겐 재미난 놀이였다. 하루는 깊이를 가늠해 보기 위해 돌멩이 하나를 떨어뜨려 보았다. 암흑이 순식간에 그것을 삼켜버렸다. 나는 속으로 ‘하나, 둘...’ 세기 시작했다. 암흑이 소리까지 삼킨 건지 믿을 수 없는 적막이 계속됐다. 내가 상상할 수 있는 깊이는 진작에 초과했다. 나는 제대로 초를 세고 있는지도 확신할 수 없었다. 차단된 감각들이 공간과 시간의 관계에 금을 냈다. 무엇인가가 잘못된 느낌이었다. 마침내 바닥을 치는 소리가 들렸다. 마치 세상의 끝에서부터 울려오는 소리 같았다.
어느 날 우물 문을 열었을 때 반대편 세상의 문도 함께 열렸고, 한 소년이 그 안에 있었다. 어째서인지 그날의 우물은 마르지 않았고, 그 끔찍이도 검은 수면에 나의 그림자가 비쳐있었다. 나는 그것이 정말 나의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손을 흔들어보았다. 마주 흔들리는 그 모습은 조금 어색하였다. 아마도 그렇게 멀찍이 떨어져 있는 그림자를 본 적이 없어서일지도 모르겠다. 그 그림자는 어둠 한가운데에 고립되어 있었다. 바라보면 바라볼수록 그 소년이 이질적으로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갑자기 그도 나를 바라보는 듯하여 두려워졌다. 그것은 정말 그림자일 뿐 이었을까.
2015-2017